웰빙200 B2B MOQ 파트너 모집 안내

치매 없는 사회를 위한 연대

2050년에도 치매환자 100만 명 이내(2025년 기준)으로 관리하는 것이 웰빙200의 목표입니다.

바이오식품 벤처기업

웰빙200은 고령화 시대에 치매 사회화 위기를 막기 위해 출범한 바이오식품 벤처기업입니다.

사회적 연대 유통 시스템

웰빙200은 공급망 전체가 함께 참여하는 사회적 연대 유통 구조 시스템을 지향합니다.

함께 만드는 치매 감속 사회

웰빙200은 대규모 중앙집중형이 아닌 ‘분산형 연대 힘들의 연결’로 실현하는 치매 감속 사회를 만듭니다.

사회적인 사명

웰빙200은 사회적 미션을 실현하는 사업을 합니다. 웰빙200 파트너로의 참여는 사회적인 사명도 동시에 참여하는 것 입니다.


플래그쉽 제품, 만먹설은 왜 확실한가 ?

만들어 먹는 설포라판(줄여서 만먹설) 제품은 브로콜리새싹에서 추정이 아닌 확실하고 온전히 설포라판을 섭취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한 섭취방법을 적용했기 때문입니다.

무가공/최소가공

가공정도에 따라 그룹으로 분류한 NOVA 분류기준 그룹1에 해당하는 무가공/최소가공 단일원료로 소비자가 품질을 투명하게 확인할 수 있음.

자연유래성분

1992년 부터 전세계 많은 과학자들에 의해 시험되고 있는 자연유래성분.


🧪 설포라판의 발견 (1992년)

  • 주요 연구자: Paul Talalay 교수 (미국 Johns Hopkins University 의과대학 약리학과)
  • 논문 발표: 1992년,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PNAS)
  • 핵심 내용:
    Talalay 교수팀은 브로콜리에서 추출한 이소싸이오사이아네이트(isothiocyanate) 계열의 화합물 중 하나인 설포라판(sulforaphane)이
    체내 해독 효소(phase 2 detoxifying enzymes)를 유도하여 발암 억제 효과가 있음을 세계 최초로 입증했습니다.

📌 이 연구를 통해 설포라판은 "식이성 항암물질"로서 주목받기 시작했습니다.

설포라판 히스토리 더보기

📌 1. 최초 발견과 구조 규명

  • 1947: 항균 작용 발견 (무 추출물) – Ivanovics & Horvath
  • 1948: 설포라판 합성 및 화학 구조 규명 – Schmid & Karrer

🧪 2. 항암효과의 과학적 검증

  • 1992: Johns Hopkins 대학 Talalay 교수팀이 브로콜리에서 설포라판 항암효과 최초 입증
    해독효소(GST, NQO1 등) 유도, 발암물질 해독 촉진
  • 1994: 동물 모델에서 종양 발생률 감소 확인

🌱 3. 브로콜리 새싹의 전구체 집중 연구

  • 1997: 새싹 브로콜리에 20~50배 높은 전구체(글루코라파닌) 함유 확인
    → 브로콜리 새싹 상업화

🔬 4. 작용 기전 다각화

  • 2001: NF-κB 억제 통한 항염증 효과 규명
  • 2004: HDAC 억제 통한 세포사멸 및 에피제네틱 항암기전 보고

👨‍⚕️ 5. 인체 적용 및 임상연구

  • 2014: 자폐증(ASD) 환자 대상 임상 → 사회성·행동 개선
  • 2014: 중국 농촌지역 주민 대상 → 벤젠 등 발암물질 해독률 증가
  • 2017: 제2형 당뇨 환자 대상 → 혈당·HbA1c 개선 효과
  • 2017: 알츠하이머 모델 쥐 → 인지 기능 개선, Aβ 축적 억제

🔭 6. 최근 동향 및 미래 전망

  • 2020년대:
    • SARS-CoV-2 억제 작용 등 항바이러스 가능성
    • 치매, 파킨슨병 등 신경질환 예방 및 치료 보조제로 확장

ACTIVE SULFORAPHANE
CTA Image

최근의 정보들은 아래에서 공유하고 있습니다.

설포라판 상세정보

아직 아무도 이 시장을 차지하지 않았습니다

프리미엄 블루오션

그린바이오 푸드, 비어 있는 프리미엄 블루오션

폭발 직전의 수요

고령화 사회 진입 + 사회 돌봄 자원 부족 + 스스로 건강 관리 필요성 증가 → 잠재 수요 폭발 직전

만먹설과 함께 바이오식품시장 진입

‘핵심 바이오식품 브랜드’ → 만먹설의 파트너십으로 시장에 진입할 수 있습니다.


하나의 B2B MOQ 파트너 = 하나의 농가를 창출

우리는 대규모, 자동화가 아닌 일자리 창출 원칙으로 시스템을 운영합니다.

MOQ 충족 → 농가 창출

B2B 수요처 파트너의 MOQ 조건 충족 시, 하나의 농가가 창출됩니다.

은퇴자의 제2의 삶을 연결

웰빙200 의 농가 재배 파트너 구축 우선 순위는 은퇴자가 1순위입니다. 이를 통해, 잠재적 사회적 돌봄 대상자가 아닌, 사회를 돌보는 공여자로 전환 될 수 있습니다.

B2B 수요처 파트너가 되기 위한 MOQ 에 대한 상담 문의 주십시요.
우리는 최소규모로 농가를 창출하기 때문에, 높은 MOQ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하나의 농가가 유지될 수 있는 MOQ 만 유통하실 수 있으면 됩니다.


한 번 팔면, 매달 돌아옵니다

“4주 구독 루틴 – 하루 1개, 총 21개로 월단위 구성”

루틴형 섭취 제품 → 반복 구매

반복성과 예측성: 루틴형 제품으로 안정적 B2B 매출 확보. (예. 만먹설 하루 1개 섭취, 4주 단위 구성 등 재구매 반복 단위)

시니어 시장 최적화 제품

시니어 시장의 특징인, 스스로 관리하는 셀프헬스에 최적화된 상품

만먹설 제품 소개 페이지

만먹설 제품상세페이지

만먹설 제품소개

주인공이 되실 파트너를 찾습니다.

이제 시장을 열 차례입니다.

B2B MOQ 파트너 모델 예

실버시장 진출기업의 시너지

실버시장 진출 기업의 시너지 상품 (예 : 병원, 요양시설, 급식, 약국, 드럭스토어 등)

구독형 사업모델

구독 기반 헬스케어, 시니어 푸드, 케어 플랫폼과의 연계 사업

공동 시범사업 등

공공-민간 연계: 치매예방..인지개선 위한 공동 시범사업 기회


웰빙200의 목표시장과 운영규모

300만 루틴 소비자 확보 목표

전국 단위로 확산되는 ‘치매 예방·인지 웰니스 루틴식품’ 수요를 겨냥해 루틴 섭취형 기능성 제품을 중심으로 300만 명의 정기 소비자층을 확보합니다.

2,500 B2B MOQ 파트너 창출 목표

지역 기반의 소형 MOQ 유통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맞춤형 물량 단위로 안정 공급이 가능한 구조를 운영합니다. (대량 독점형으로 운영하지 않고, 유연하게 공급 시작 가능)

2,500 농가 창출 목표

은퇴자, 귀농자, 사회적 농업 농가와 함께 소비와 생산이 연결되는 국가 기반형 공급 생태계를 구축합니다. (ESG 및 사회적 가치 연계 스토리 가능)

확장성과 지속가능성

단일 제품이 아닌, 소비자 유형별 ‘만먹설 플러스’ 제품군이 이미 설계·연구되고 있어, 유통 파트너가 확보한 시장을 유지·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준비된 완성형 모델

3년간 검증된 설계: 스마트팜부터 고객 루틴화까지 이어지는 전체 가치사슬이 완성되어 있습니다.

지금 시작하면, 시장을 여는 주인공이 됩니다.



서울 연락 사무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87길 22, 7168호 (웰빙200 코디네이터 센터)


💡
전화상담요청안내
070.8983.9777
로, 연락요청 메세지를 남겨주시면 연락드리겠습니다.